Ahn Graphics

풍경과 인간: 풍경의 내면, 시선의 미학

Buy

풍경의 미학과 사유를 전방위적으로 집대성한 풍경 시학
풍경을 인간의 내면이 외부 세계에 투영된 구조로 보고, 그것이 어떻게 정신, 신체, 언어, 윤리, 예술, 그리고 공동체의 층위에서 구성되는지를 전방위적으로 다룬 책이다. 동서양의 도시와 정원, 풍경의 언어와 기호학, 풍경의 윤리적 차원과 공동체성, 그리고 폐허와 핵 풍경까지 책은 지리적, 문화적 경계를 넘나들며 풍경을 인류 문명의 흔적으로 읽어낸다. 이는 곧 풍경이 인간 삶의 윤리와 정신을 드러내는 중요한 장치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철학, 문학, 미학, 언어학, 도시계획, 생태학 등 다양한 학문적 경계를 횡단하는 이 책은 풍경에 관한 인문학적 탐구의 지평을 확장한다.

편집자의 글

풍경은 세계를 응시한 인류의 기억이다
풍경은 무엇을 말하는가? 풍경은 인간의 기억과 역사, 감각과 정신이 새겨진 깊은 층위의 표상이다. 저자 김성도는 풍경이 단순한 배경이나 시각적 대상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과 세계를 연결하는 깊이 있는 사유의 공간임을 밝히며, 풍경을 통한 정신적, 문화적 배경과 풍경의 미래를 탐색한다. 책은 인간이 풍경을 어떻게 경험하고 이해하는지를 철학, 미학, 인문지리학, 환경윤리학 등 방대한 인문학적 관점에서 다룬다.
풍경은 ‘보는 것’을 넘어, ‘기억하는 것’ ‘사는 방식’ ‘내면의 시선으로 세계를 재구성하는 행위’로 정의된다. 정원에서 시작해 폐허에 이르기까지, 산수화와 대기의 존재론을 거쳐 인류세적 생태 위기까지, 풍경을 둘러싼 거의 모든 인문학적 담론을 살펴보며 풍경을 인간 문명이 남긴 기억이자 윤리적 질문으로 접근한다.
제1장에서는 인간 내면의 정신성과 풍경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정신적 성장을 논의하며, 풍경을 정신적, 문화적 표상으로 분석하고 마음과 풍경의 관계를 탐색한다. 또한 걷는 행위와 같은 신체적 체험이 풍경과 맺는 관계를 강조하며 풍경이 인간의 시각과 신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정원 풍경을 통해 유토피아적 풍경의 비전과 현실의 접점을 알아본다. 이탈리아의 아르카디아 정원을 비롯한 유럽 정원의 이상적 풍경에 대한 재현에서부터 아랍과 페르시아 정원의 구조와 미학, 동아시아 정원의 공간적 철학인 ‘차경’의 미학까지, 동서양 풍경의 시원과 정원의 미학을 폭넓게 다루며, 이를 통해 정원이 단순한 조경물이 아닌 인간의 이상과 우주관을 담은 공간임을 설명한다.
제3장에서는 풍경의 의미를 언어와 기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며, 풍경이 어떻게 문화적 의미를 생산하고 서사성을 지니게 되는지 분석한다. 또한 동아시아 산수화 전통과 같이 풍경이 지닌 심미적이고 예술적인 가치를 강조한다. 제4장은 풍경이 지닌 윤리적 차원과 공동체성을 다루며, 풍경을 공공재로서의 의미에서 논의한다. 현대 환경윤리학과의 관련성을 통해 풍경 윤리의 필요성과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발전의 조건을 제시한다.
제5장에서는 대기의 풍경과 인간의 영성적 관계를 연결 짓는다. 인간 숨결과 기상학적 상상력, 분위기의 존재론과 미학을 논하며, 풍경 속에서 영성적인 체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현대 사회가 직면한 생태적 위기와 인류세 시대의 풍경을 다루며, 폐허의 미학과 생태 친화적 풍경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인류세 시대의 문제를 인식하고, 인간과 자연의 지속 가능한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생태적 풍경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이 모든 논의 위에서, 저자는 ‘풍경의 미래’를 묻는다. 인류세 이후의 세계에서 풍경은 어떤 윤리적 관계를 형성해야 하는가? 풍경은 자연과 인간 사이에 맺어야 할 새로운 계약이며, 공동체를 상상하는 윤리적 공간이다. 『풍경과 인간』은 이 시대에 더욱 필요한 인간학적 성찰로, 우리가 어떻게 이 세계를 응시하고, 기억하며, 살아가야 하는지를 되묻는다.

책 속에서

풍경은 문화적 구성물이다. 풍경은 의도된 것이건 아니건 인간의 개입과 그 흔적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인공적인 것에 속하고, 야생 또는 황무지와 대립한다. 이제 지구에서 순수한 야생은 갈수록 희소하거나 전무한 상태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런데 인간이 자각하고 있어야 할 중요한 사실은 자연의 풍경이건 문화의 풍경이건 인간이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풍경은 기적과도 같은 선물이라는 점이다.

13

풍경은 단순히 가시적인 것을 계시하는 회화 작품으로서가 아니라, 한 편의 심포니를 감상할 때처럼 모든 감각을 총집결시킨다. 이 같은 감각적 전체성은 분할될 수 없으며 분할되는 순간 곧바로 풍경의 전체성을 놓칠 위험에 처한다. 천 개의 감각 작용이 주체를 엄습하고 그 자신을 풍경으로 변신시키는 마법과도 같은 사건이 발생한다. 즉 풍경을 한낱 대상으로 바라보는 주체 그 자신이 하나의 고유한 풍경이 되는 것이다.

14

풍경은 정신의 능동적 작동을 통해서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신의 작품이며, 세계를 조망하는 창문이자 격자이고, 어떤 면에서는 인간이 자신의 내면과 외부 세계 사이에 갖다 놓는 신비로운 정신적 베일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풍경은 하나의 고유한 해석이며, 독법이고, 특정 언어 유형의 표현이다.

25

별이 빛나는 자연에서 잠을 자고 일출과 석양을 음미하고 멋진 풍경을 가로지를 때 인간의 몸과 마음은 질적으로 변화한다. 소나무로 둘러싸인 숲속의 빈터에서 밤을 보낸 작가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그 숲이 베푼 환대에 감사의 마음을 담아 아무도 없는 소나무숲 속 풀밭 위에 숙박비를 남겨둔다. “…그 빛은 모든 생명과 살아 있는 침묵의 정신 위에서 빛나고 있었고, 그것이 나를 이상한 희열에 휩싸이게 했다.”

39

풍경은 매우 미세한 흔적을 통해 자신이 탄생한 배경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예를 들어 우리의 상식과 달리 알프스 산맥에는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았던 원시 상태가 존재하지 않는다. 작은 오솔길조차 오랜 시간 동안 그곳에서 삶을 영위하고 개척했던 사람들의 발자취가 남긴 흔적이다. 시간의 흐름과 변화 속에 새겨진 모든 풍경은 그 의미를 고정시킬 수 없는 부유하는 기표이다. 풍경은 단 하루, 특정 계절, 특정 기후의 순간에만 나타나는 수많은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41-42

자연 속에서 우연히 드러나는 발현되는 아름다움과 인간의 작위로 이룩한 완벽한 형태의 아름다움을 파악하려는 두 가지 심미적 지각 방식은 이분법적 대립과 배타적 관계로 파악해서는 곤란하다. 이와는 반대로, 두 가지 심미적 방식은 동시에 발생하며, 서로 겹쳐지도록 의도된 측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113

풍경은 21세기를 넘어 인류의 삶과 지속 가능한 미래 건설 차원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긴박한 주제들 가운데 하나로 부각될 것이 분명하다. 특히 인간들 사이의 조화, 자연과의 화해를 통해 보다 건강한 인류의 삶을 마련하는 데 있어 인문학적 상상력은 여전히 요긴할 것이며, 이 점에서 인문학의 역할과 사명은 분명하다.

344

차례

서문

제1장 풍경, 마음, 우주
1 풍경, 정신, 시선

  1. 새로운 마음의 눈: 내면의 정신적 성장
  2. 정신적·문화적 표상으로서의 풍경
  3. 마음과 풍경의 상호작용
    2 풍경과 몸: 체험으로서의 풍경
  4. 체험으로서의 풍경
  5. 걷기와 풍경
  6. 풍경, 시각, 신체성
    3 풍경-사유: 사유와 거주로서의 풍경
  7. 풍경-사유
  8. 풍경과 거주의 원근법
    4 풍경과 진리
    5 풍경과 우주
  9. 풍경의 우주성: 사물과 도덕적 존재의 조화
  10. 성층화된 우주에서 근대적 풍경으로: 수직적 우주관에서 수평적 경관

제2장 천국과 차경: 정원 풍경
1 풍경과 유토피아

  1. 유토피아적 풍경
  2. 아르카디아 이탈리아 정원
  3. 이탈리아 화가들의 아르카디아 풍경
    2 정원의 시원
  4. 천국과 정원
  5. 도시와 정원
  6. 소우주로서의 정원: 완벽한 소우주를 성립하기 위해 재창조된 풍경
    3 두 개의 원형 정원
    4 정원 울타리 구조의 의미
    5 오리엔트 정원의 기원과 구조: 아랍과 페르시아 정원의 미학
  7. 도시와 정원의 불가분성
  8. 페르시아 정원의 미학
    6 동아시아 정원의 공간 시학
  9. 동아시아 문명의 자연 철학과 심미성
  10. 동아시아 정원의 우주적 비전
  11. 동아시아 정원의 공간 시학: 차경의 미학

제3장 풍경의 세미오시스와 포에시스
1 풍경과 언어

  1. 모국어로서의 풍경 언어
  2. 풍경 언어의 문학성과 서사성
    2 텍스트로서의 풍경: 기호학과 문화적 의미의 구축
  3. 풍경의 탈구조주의적 독해
  4. 풍경, 텍스트, 상호 텍스트: 바르트의 비판 기호학과 풍경의 이데올로기
    3 풍경의 기호학적 성격: 도상성, 가치론, 시간성
  5. 자연 세계의 기호학: 풍경의 구상성과 도상성
  6. 풍경의 시간성
    4 심미적 대상으로서의 풍경:
    명상과 계시를 통한 심미적 대상의 탄생
    5 예술, 인공물, 자연으로서의 풍경
    6 시적 정신: 동아시아 산수화 전통의 자연관과 시학
  7. 산수화의 형식과 체험
  8. 그림 속에서 요소들의 정신적 성향

제4장 풍경의 에토스와 공동체성
1 풍경의 윤리적 차원

  1. 풍경 윤리의 부상
  2. 풍경 윤리의 희망과 필요성
    2 미국 환경 윤리의 계보
    3 공공재로서의 풍경
  3. 풍경은 공공재가 될 수 있는가?
  4. 공공선
  5. 공통의 틀: 지속가능한 발전과 정의 실현의 요건
    4 풍경 윤리의 다차원성
  6. 의무로서의 풍경
  7. 자연과 사회와의 새로운 계약으로서의 풍경
  8. 미래에 미칠 파급 효과로서의 풍경
  9. 자연에 대한 배려와 덕으로서의 풍경
    5 풍경 권리
    6 풍경과 권력: 정의, 노동, 이데올로기
  10. 풍경과 사회정의
  11. 노동, 계층, 생산
  12. 풍경, 권력, 이데올로기: 풍경 미학을 넘어
  13. 풍경화의 발생과 제국의 등장

제5장 대기 풍경: 숨결과 영성
1 인간 숨결의 풍경
2 대기의 인문학적 상상력: 대기와 기상학
3 분위기의 존재론과 미학

  1. 분위기의 독특한 존재 양식
  2. 예술, 건축, 분위기
  3. 분위기로서의 풍경: 분위기와 빈 공간으로서의 ‘케시키’의 미학
    4 도시 풍경의 분위기와 대도시의 정신적 삶
    5 풍경과 영성
  4. 풍경과 영성의 불가분성: 풍경 속의 영성적인 것에 대해
  5. 시토 수도원: 땅과 영성이 만나는 곳

제6장 슬픈 풍경: 생태적 풍경을 희망하며
1 인류세의 도래
2 인류세의 위기는 호흡의 위기
3 인류세 시대의 쓰레기와 폐기물의 풍경

  1. 잔존물
  2. 일반 경제
    4 인류세 시대의 폐허의 풍경:
    호모 사피엔스의 소멸과 기술 상상계
  3. 폐허의 미학
  4. 숭고미의 종언: 미국 화학 공장의 풍경
  5. 버틴스키와 인류세
  6. 미즈락의 도덕적 숭고주의
    5 핵의 풍경
  7. 가혹한 플루토늄
  8. 서서히 다가오는 대재앙들
    6 생태 친화적 풍경
  9.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 공통적 역설
  10. 풍경의 미학적 발명
  11. 에코 디자인: 지속 가능한 풍경을 위하여
    결론 풍경의 미래: 풍경의 지속가능성과
    풍경 인간학의 필요성

참고 문헌
도판 출처

Kim Sung-do

Born in 1963, h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French Language and Literature at Korea University. He received his master’s and doctoral degrees in linguistics and semiotics from the University of Paris X in France. He was selected for the LG Yonam Foundation’s overseas research program and served as a visiting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Art History and the Institute of Linguistics at Oxford University in the UK, a visiting professor at Harvard University in the US as a Fulbright Fellow, a visiting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Limoges in France, an honorary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Dijon in France, a visiting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in the UK, and a distinguished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Havre in France. He was also selected as an Asian Studies Fellow by the POSCO TJ Park Cultural Foundation. He served as the editor-in-chief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otics and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Linguistics for the Humanities.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Linguistics at Korea University and a professor in charge of the collaborative program in Visual Culture Studies. He is also an executive member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Semiotics, an editorial member of Semiotica, the world’s most authoritative journal in the field of semiotics, president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otics, and vice president of the Korean Society of Visual Culture Studies. He has won the Best Paper Award from Semiotica and has published numerous papers in international semiotics, media studies, and linguistics journals such as Degres, Language, and Kodikas. He has translated works by Derrida, Greimas, Peirce, Eco, and Floch, and was awarded the Hankook Ilbo Publishing Culture Award (translation category) in 1996. His publications include Lectures on Modern Semiotics, From Logos to Mythos, From Structure to Sensibility, The Transformation of Digital Language and Humanities, Signs, Rhythm, and Space, and Homo Mobilicus.

관련 분야

은 안그라픽스에서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사람과 대화를 통해 들여다본
을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