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7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에서 태어났다. 현대미술가, 소설가로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유화학과를 중퇴했다. 1960년대 전위예술 단체 ‘하이레드센터(High Red Center)’를 결성해 전위예술가로 활동했다. 이 시절 동료들과 도심을 청소하는 행위예술 〈수도권 청소 정리 촉진운동(首都圏清掃整理促進運動)〉을 선보였고, 1,000엔짜리 지폐를 확대 인쇄한 작품이 위조지폐로 간주되어 법정에서 유죄 판결을 받기도 했다. 1970년대에는 《아사히저널》과 만화 전문 잡지 《가로(ガロ)》에 「사쿠라화보(櫻画報)」를 연재하며 독자적 비평을 담은 일러스트레이터로 활약했다. 1981년 ‘오쓰지 가쓰히코’라는 필명으로 쓴 단편 소설 「아버지가 사라졌다(父が消えた)」로 아쿠타가와류노스케상을 받았다. 1986년 건축가 후지모리 데루노부, 편집자 겸 일러스트레이터 미나미 신보와 ‘노상관찰학회(路上観察学会)’를, 1994년 현대미술가 아키야마 유토쿠타이시(秋山祐徳太子), 사진가 다카나시 유타카(高梨豊)와 ‘라이카동맹(ライカ同盟)’을, 1996년 미술 연구자 야마시타 유지(山下裕二) 등과 ‘일본미술응원단(日本美術応援団)’을 결성해 활동했다. 2006년부터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일본화학과 객원 교수를 지냈다. 지은 책으로는 『노인력』 『센노 리큐』, 공저로는 『일본미술응원단』 『교토, 어른의 수학여행』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수많은 책을 남겼다. 국내에 소개된 책은 『초예술 토머슨』 『침묵의 다도 무언의 전위』 『신기한 돈』 『나라는 수수께끼』 『사각형의 역사』와 공저서 『노상관찰학 입문』 등이 있다. 2014년 10월 26일 일흔일곱의 나이로 타계했다.
사람들
아카세가와 겐페이
赤瀬川原平
다른 사람들
-
1958년생. 디자이너, 일본디자인센터 대표이자 무사시노미술대학교 교수다. 일본뿐 아니라 세계 각지를 순회하며 영향을 끼친 〈RE-DESIGN – 일상의 21세기〉전을 비롯해 〈JAPAN CAR – 포화한 세계를 위한 디자인〉 〈HOUSE VISION〉 등 기존의 가치관을 뒤엎는 전시회를 전개한다. 나가노올림픽 개폐막식 프로그램, 아이치박람회에서는 일본 문화에 깊게 뿌리 내린 디자인을 실천했다. 2002년부터 무인양품 아트디렉터를 맡았으며, 마쓰야긴자, 모리빌딩, 쓰타야서점, 긴자 식스, 미키모토, 야마토운수, 중국 샤오미의 VI 디자인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활동한다. 2008–2009년에 베이징, 상하이에서 대규모 개인전을 개최했다. 2016년 ‘밀라노가구박람회’에서 이탈리아 건축가 안드레아 브란치와 〈신 선사시대 – 100개의 동사(新·先史時代 – 一〇〇の動詞)〉전을 개최해 인류사를 도구와 욕망의 공진화로서 제시했다. 또 외무성 〈JAPAN HOUSE〉에서 종합 프로듀서를 …
-
신희경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시각 디자인과 디자인 이론을 전공했다. 일본 문부성 국비유학생으로 일본 무사시노미술대학교에서 석사, 니혼대학교 예술학부 디자인학과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무사시노미술대학교 연구원을 거쳐 현재 세명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두 번의 개인전을 갖는 등 작품 활동을 병행한다. 문체부 세종도서에 선정된 공저 『제국미술학교와 조선인 유학생들』 『고교 국정교과서 디자인 일반』 『기초조형 Thinking』 『2014 디자인백서』를 비롯해 2019년 일본에서 출간된 공저 『디자인에 철학은 필요한가(デザインに哲学は必要か)』(무사시노미술대학출판국)와 역서 『디자인학』 등 10여 권의 공저 및 역서가 있다. -
민구홍
중앙대학교에서 문학과 언어학을, 미국 시적연산학교(School for Poetic Computation, SFPC) 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밍(하지만 ‘좁은 의미의 문학과 언어학’ 또는 ‘시적 연산’으로 부르기를 좋아한다.)을 공부했다. 안그라픽스와 워크룸에서 편집자, 디자이너, 프로그래머 등으로 일했다. 1인 회사 민구홍 매뉴팩처링(Min Guhong Manufacturing) 을 운영하며 미술 및 디자인계 안팎에서 활동하는 한편, ‘현대인을 위한 교양 강좌’를 표방하는 ‘새로운 질서’ 를 통해 스튜디오 파이·취미가, 파주타이포그라피배곳, 홍익대학교 등과 어깨동무하며 ‘개념적이고 실용적인 글쓰기’의 관점에서 코딩을 이야기하고 가르친다. 지은 책으로 『새로운 질서』가, 옮긴 책으로 『이제껏 배운 그래픽 디자인 규칙은 다 잊어라. 이 책에 실린 것까지.』 『세상은 무슨 색일까요?』가 있다. 2022년 2월 22일부터 안그라픽스 랩(약칭 및 통칭 ‘AG 랩’) … -
야마자키 료
studio-L 대표, 교토조형예술대학 교수. 1973년 일본 아이치 현 출생. 지역의 과제를 그 지역 주민들이 해결할 수 있게 돕는 커뮤니티 디자인을 하고 있다. 마을 만들기 워크숍, 주민 참여형 종합 계획 수립, 건축이나 랜드스케이프 디자인 등 많은 프로젝트를 해 왔다. ‘아마초 종합진흥계획’ ‘마루야가든즈’ ‘지진 재해+design’으로 굿 디자인상, ‘어린이의 행복을 형태로 만들다’로 키즈 디자인상, ‘호즈프로공방’으로 SD 리뷰, ‘이에시마 프로젝트’로 올 라이트! 일본대상 심사위원 회장상을 수상했다. 저서 및 공저서로 『도시환경 디자인 작업(コミュニティデザインの仕事)』 『마조히스틱 랜드스케이프(マゾヒスティック・ランドスケープ)』 『디자인은 지진 재해 앞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震災のためにデザインは何が可能か)』 『텍스트 랜드스케이프 디자인의 역사(テキストランドスケープデザインの歴史)』 등이 있다. -
도이 아키후미
1957년 히로시마시 출생. 난센스 그림책을 사랑하는 프리랜스 그림책 편집자이다. 호루푸슛판(ほるぷ出版)에서 『이미지의 숲(イメージの森)』 시리즈로 편집자 일을 시작해 현재까지 그림책 약 300권 이상을 기획하고 편집했다. 기치조지에서 그림책 전문 서점 ‘톰즈박스(トムズボックス)’를 경영하고 있다. 사카이 고마코(酒井駒子), 시마다 유카(島田ゆか), 도이 가야(どいかや), 아라이 료지(荒井良二)의 그림책 데뷔작을 기획하고 편집했으며, 그밖에 많은 그림책 작가를 처음 소개하고 함께 작업했다. 현재 그림책 작가 육성을 위해 워크숍 ‘아토사키주쿠(あとさき塾)’에서 오노 아키라(小野明)와 주재하며 신인을 발굴 중이다. 지은 책으로 『초 신타: 난센스의 지평선에서 온(長新太―ナンセンスの地平線からやってきた)』(河出書房新社, 2007)이 있다. -
악셀 에발트
독일 알라누스미술학교에서 조각과 미술 교육을 전공하고 독일, 영국, 미국, 이스라엘에서 20년 이상 조각, 드로잉, 괴테 관찰 및 미술사를 가르쳤다. 영국 에머슨대학에서 5년 동안 교직원으로 재직했다. 조각가이자 인지학, 괴테 과학, 생태학의 영향을 받은 환경 예술가로 독일, 영국, 이스라엘에서 전시회를 열었고, 마거릿 커훈과 함께 영국에서 괴테 과학 및 예술 강좌를 개발했다. 이스라엘의 키부츠 하르두프에 거주하며 시각 예술 교육 과정 ‘예술의 길’을 설립하고 지역 사회에서 예술을 활성화하는 일인 사회적 조각에 전념한다. -
임지환
대한민국 건축사이고, 경계없는작업실 자문파트너이자 제로투엔의 대표이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한울건축에서 건축 실무 경력을 쌓았고 경계없는작업실을 열었다. 경계없는작업실에서 공간개발과 기획-설계-시공의 통합가치 필요성을 느끼고 종합건설업을 가진 제로투엔을 창업해 공간의 가치를 늘리는 다양한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
이푸로니
서울에서 활동하는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일러스트레이터이다. 로드아일랜드스쿨오브디자인에서 회화를 전공하고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원에서 시각디자인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8년 지식경제부 선정 차세대디자인리더로 선정되었으며 한국공예문화진흥원에서 스타상품디자이너로 선정되었다. -
서기흔
그래픽 디자이너. 가천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 한국시각정보디자인협회, 한국기초조형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2008년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미술부문, 2012 대한민국 신지식경영 대상 교육부문을 수상했다. -
신디아 부식-스나이더
비주얼 스토리텔러, 프로젝트 관리자, 디자인 교육자. 다양한 기업 및 교육 분야에서 폭넓은 경험을 쌓은 전문 문제 해결사다. 팀 리소스와 비전을 결합해 지속적인 전문성 및 개인 개발을 장려하는 협업 환경에서 창의적인 경험을 공식화하는 입증된 능력을 갖추었다.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에서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전공하며 그래픽 디자인 실습과 교육 모두에 관심을 가졌다. 그래픽 디자이너와 아트 디렉터(전 세계 소매 및 B2B 고객을 위한 아이덴티티, 구매 시점 관리, 사이니지 시스템, 인쇄물)로 일한 후 고등 교육 분야로 관심을 전환했다. 그의 강의는 인쇄 및 웹 출판을 위한 구도, 타이포그래피 및 색상 이론에 중점을 두었다. 공저서로 『디자인의 개념과 원리』 『타이포그래픽 워크북(A Typographic Workbook: A Primer to History, Techniques, and Artistry)』 등이 있다. -
박재용
주로 한국 서울에서 활동하는 필자, 통·번역가, 큐레이터다. 장서광으로, 동시대 미술과 이론 서가인 ‘서울리딩룸’(@seoulreadingroom)을 설립해 운영 중이다. 리서치 밴드 NHRB(@nhrb.space)에서 허영균과 함께 프론트맨으로 활동하고, 정성은, 김수지와 함께 스탠드업 코미디 모임인 ‘서촌코미디클럽’(@westvilalgecomedyclub)을 운영한다. 『마지막 혁명은 없다: 1980년 이후, 그 정치적 상상력의 예술』(현실문화연구, 2012), 『동시대-미술-비즈니스: 동시대 미술의 새로운 질서들』(부산현대미술관, 2021), 『현대미술, 이렇게 이해하면 되나요?』(부커스, 2022) 등을 번역했다. -
최호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 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대한민국산업디자인전람회 한국디자인진흥원장상, 국무총리상 등을 수상하고 같은 기관 초대디자이너, 대한산업미술가협회 시각디자이너회장 등으로 활동했다. 지은 책으로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고등학교 시각디자인』 기초/응용 등이 있다. 강남대학교 예술학부 시각디자인전공 교수이자 유니버설디자인 연구소장으로 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