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4년 취리히에서 출생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취리히에서 졸업하고 식자공 직업교육을 마친 후 파리에서 유학했고, 파리스위스산업회Cercle Commercial Suisse de Paris에서 프랑스어 학위를 받았다. 이후 취리히 출판사에서 광고 인쇄 책임자로 일했다. 취리히예술산업학교Kunstgewerbeschule Zürich의 조판 및 활판인쇄 주간반을 다녔으며 알프레드 빌리만Alfred Willimann(1900–1957)과 발터 케흐Walter Käh(1901–1970)로부터
타이포그래피를 배운다. 1942년 바젤산업학교(AGS Basel)의 상임 타이포그래피 전공 교사로 임명되었다. 1947년 같은 학교의 제3부(예술산업 직업교육부)에 활판인쇄 전문반을 개설, 이곳의 책임자가 된다. 1948년 스위스공예협회(SWB)의 바젤 지부장을 맡았다. 1956년 스위스 산업 박람회의 「Die gute Form(좋은 형태)」 심사위원이었으며, 스위스공예협회의 중앙이사회 회원으로 (게오르크 슈미트의 뒤를 이어) 선출되었다. 같은 협회의 운영위원회 회원으로도 일했다. 1959년 ATypI(국제타이포그래피협회) 스위스 대표로 활동했다. 1961년 스위스 응용예술연방위원회에서 (베르흐톨트 폰 그뤼니겐의 뒤를 이어) 위원이 됐으며, 스위스 우편전신전화국의 우표 제작부 예술 고문으로 활동했다. 1962년 뉴욕 ‘국제타이포그래피예술센터(ICTA)’을 공동 설립하고, 1965년 바젤산업학교 교장 및 산업박물관 관장을 역임했다. 1966년 스위스공예협회의 두 번째 회장이 됐다.
1967년 스위스의 니끌리 출판사에서 『타이포그래피』를 출간하고, 1968년 바젤산업학교 그래픽 디자인 고등과정을 아르민 호프만과 함께 창설했다. 1970년 바젤에서 눈을 감았다.
사람들
에밀 루더
Emil Ruder
다른 사람들
-
KT 사장. 2004년 KTF 마케팅 부사장 재직 당시 국내 최초로 서비스디자인을 기업 경영과 마케팅 활동에 도입한 주역이다. Have a good time(2005), SHOW(2007), QOOK(2009)에 이어 최고의 감탄사 olleh(2010)의 탄생에 이르기까지 기업 경영자로서의 생생한 체험과 경험을 바탕으로 KT의 혁신에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했고, 국내 디자인 발전에 큰 획을 그었다. 또한 국내 통신시장의 혁신적 성장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대한민국 산업포장과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공학박사 출신으로서 기술 개발뿐 아니라 마케팅, 경영에 이르기까지 주요 요직을 두루 거쳐 입사 25년 만에 KT 사장이 되었다. 현재 트위터(@hmpyo)에서 6만 5,000명에 육박하는 팔로워와 소통하는 젊은 브레인이다. 지은 책으로 『서비스디자인 시대』가 있다.
-
최대석
홍익대학교 미술대학(BFA)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산업디자인(MFA)을,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마케팅(MBA)을 전공했다. ‘성공적인 디자이너는 이론(文)과 실무(武)를 겸비해야 한다’는 평소의 교육 및 디자인 철학(creative philosophy)의 신념으로 전문 디자이너 교육에 정진하는 한편 대한민국산업디자인전 추천 디자이너를 거쳐 심사 위원을 지내면서 초대 디자이너로 출품해 왔다. 주요 관심 분야로는 신제품 디자인 개발과 기업 디자인 전략(진단, 평가, 계획 수립), 휴먼 팩터(Human Factors: Aging, Sporting Goods) 등이 있다. 2008년 현재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KSID(Korea Society of Industrial Designers) 창립 회원이었으며 IDSA(Industrial Designers Society of America) 국제 회원, 대한인간공학회 종신회원이기도 하다. 지은 책으로 『새시대 … -
진휘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학사,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삼성디자인인스티튜트(SADI), 성신여자대학교 서양화과를 거쳐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술 전시와 비평, 이론과 미술사가 함께 진행되는 미술의 생동감 있는 현장, 20세기 뉴욕에서 공부하면서 현대 미술의 변화와 진행 방향을 연구하고, 이것이 미술사의 긴 역사로부터 결코 떨어질 수 없는 현상임을 이해했다. 『아방가르드란 무엇인가?』 『오페라 거리의 화가들: 19세기 프랑스 시민사회와 미술』 『coexisting differences: Contemporary Korean women artist』 『22개 키워드로 보는 현대미술』 등의 저서와 다수의 논문이 있고, 서양미술사학회 회장과 예술체육학진흥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
유비호
2000년 첫 개인전 〈강철태양〉 이후 동시대 예술가들과 전시기획자들 그리고 미디어 사회연구자들과 함께 미디어로서 긴밀히 연결된 사회에서 새로운 예술적 활동들을 실행하기 위해 〈해킹을 통한 미술행위〉(2001), 〈 Parasite-Tactical Media Networks〉(2004–2006) 등을 공동 조직하고 연구하며 활동해 왔다. 또한 이 활동들을 기획하고 실행하면서, 이전 사회와 차별화되어 나타나는 동시대의 다양하고 특별한 사건들과 상황들을 들여다보기 위한 내밀한 미적 질문들을 던지고자 〈극사적 실천〉(2010), 〈공조탈출〉(2010), 〈트윈픽스〉(2011), 〈해 질 녘 나의 하늘에는〉(2015), 〈Letter from the Netherworld〉(2018), 〈미제〉(2020)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실행했다. 그 외 주요 기획전 〈한국 비디오 아트 7090 시간 이미지 장치〉(국립현대미술관, 2019), 〈경계들〉(쿤스트라움 크르즈 베르그 베타니엔, 2018), … -
이경민
시카고예술대학교(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에서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Visual Communication Design)을 공부했다.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선정한 차세대 디자인 리더로 선정되었으며, 국제우수디자인어워드IDEA (International Design Excellence Awards), 국제포럼디자인(iF International Forum Design), UX디자인어워드(UX Design Award), 레드닷디자인어워드(Red Dot Design Award) 등에서 수상했다. 지금은 LG전자에서 UX 디자이너로 일한다. 처음엔 얼떨결에 UX 디자이너가 되었지만 이내 자부심과 재미를 느끼며 잘 살고 있다.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언젠가는 디지털 노마드가 되길 꿈꾸며, 열심히 사는 것과 되는대로 사는 것 사이에서 늘 고민한다. -
잰 화이트
디자이너,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컨설턴트, 교육자. 코넬대학과 콜럼비아대학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20년 넘게 편집 디자인 관련을 일을 했다. 건축 잡지 《아키텍처럴 레코드(Architectural record)》와 《하우스&홈(House & Home)》의 아트디렉터를 지내기도 했다. 1,800회 이상의 세미나, 약 250편의 기사, 12권의 책을 통해 편집 디자인을 강의해왔다. 『편집 디자인(Editing by Design)』은 그의 첫 번째 책이자 가장 널리 알려진 책이며, 이 외 저서로 『그래픽 아이디어 노트북(Graphic Idea Notebook)』 『잡지 디자인하기(Designing for Magazines)』 『차트와 그래프 다루기(Using Charts and Graphs)』 『전자출판 시대의 색(Color for the Electronic Age)』 『위대한 페이지(Great Pages)』 등이 있다. -
레오나르드 S. 마르쿠스
어린이책 저자이자, 역사학자이며 비평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볼로냐 라가치상, 뉴욕 타임스 올해의 그림책, 내셔널북어워드의 심사를 맡았고, 에즈라잭키츠신인작가상 위원회의 상임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우스운 농담(Funny business)』 『마거릿 와이즈 브라운(Margaret Wise Brown)』 등이 있다. -
이규복
원광대학교에서 서예학을 전공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02년 캘리그라피 전문회사 캘리디자인을 설립한 뒤 현재 대표로 재직 중이며, 한국캘리그라피디자인협회 이사를 역임했다. 17, 18대 대통령 취임식 슬로건 타이틀, 광화문광장개장식 슬로건 타이틀, 인천대교 개통식 슬로건 타이틀, 건군 60주년 국군의 날 포스터 및 슬로건 타이틀, 현대중공업 한자 CI, 현대미포조선 한자 CI 등 국내의 중요 대형 프로젝트를 맡아 진행했다. 최근에는 불모지 상태인 캘리그라피 이론에 대한 정립을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실전 캘리그라피 1, 2』 『캘리그라피』 『한국의 명비를 찾아서』 『개설한국서예사1』『서예의 이해』(공저)가 있다. 주요 작품 활동 – 2006 월드컵 포스터 캘리그라피 – 17대 대통령 취임식 슬로건 타이틀 캘리그라피 – 17대 대통령선거 포스터 타이틀 캘리그라피 및 일러스트 – 18대 대통령 취임식 슬로건 타이틀 캘리그라피, – 건군 60주년 국군의 … -
관조 스님
1943년 출생하고 1960년 부산 범어사에서 득도했으며 2006년 입적했다. 1970년대부터 한국의 사찰과 자연을 폭넓게 사진에 담아 왔다. 〈서울 아시안게임 경축 사진전〉 〈올림픽 경축전〉을 비롯해 로스앤젤레스·토론토·시카고 등지에서 해외전 외 다수의 개인전을 가졌다. 작품집으로 『승가』 1–2와 『열반』 『수미단』 『대웅전』 『생, 멸, 그리고 윤회』 『사찰꽃살문』 『님의 풍경』 등이 있으며 공저서로 『명묵의 건축』 『가보고 싶은 곳 머물고 싶은 곳』 등이 있다. -
울프 마이어
1970년 독일 베를린 출생. 건축 전문 작가, 비평가, 교육자. 독일 베를린공과대학교와 미국 일리노이공과대학교에서 건축학을 전공하고, 독일의 잉겐호펜아키텍츠와 일본의 시게루반아키텍츠에서 일했으며 미국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San Francisco Chronicle)》의 건축 저널리스트로 활동했다. 유럽을 비롯한 세계 여러 곳에서 발행되는 신문, 잡지, 인터넷 미디어에 건축과 도시 디자인에 관한 수백 편의 기사를 투고했다. 미국 캔자스주립대학교와 네브래스카대학교 링컨캠퍼스, 대만 담강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학생을 가르쳐왔다. 현재 베를린에서 아내 마오, 두 딸 다나, 니나와 함께 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도쿄 건축(Tokyo Architecture)] [바우하우스 건축(Bauhaus Architecture)] [중국의 도시(The Chinese City)] [21세기의 도시들(Cities of the Pacific Century)] 등이 있다. -
최혁규
문화사회연구소 운영위원. 문화연대 활동가로 일했으며, 지금은 문화교육 저변에서 일한다. 기술문화와 노동에 꾸준히 관심을 두고 문화이론과 사회과학을 공부한다. -
사라스 사라스바티
버지니아대학교 다든경영대학원의 교수로 재직 중이며 기업가정신 분야의 저명한 학자이자 전문가다. 기업가의 의사 결정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로 잘 알려져 있고 특히 성공한 기업가들이 사용하는 사고방식인 이펙추에이션 논리를 개발한 것으로 명망이 높다. 카네기멜론대학교에서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허버트 사이먼(Herbert Simon)의 지도 아래 이펙추에이션 연구를 시작했고 이후 워싱턴대학교, 메릴랜드대학교, 인도경영대학원에서 교수직을 역임했다. 이펙추에이션 논리는 2022년 기업가정신 분야에서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스웨덴 국제기업가정신연구상을 수상했다. 그 외에도 영향력 있는 경영 학술지 《미국경영학회 리뷰(Academy of Management Review)》에서 최우수논문상을 비롯한 수많은 상을 받았다. 이렇듯 사라스바티는 이펙추에이션을 현재까지 계속해서 발전시켜 오고 있으며 수많은 학자의 연구 대상이자 수많은 기업가의 멘토로서 기업가정신 영역에 세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