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생.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빈 공과대학교에서 수학했다. 15년간의 김수근 문하를 거쳐 1989년 이로재履露齋를 개설한 그는, 한국 건축계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킨 ‘4·3그룹’의 일원이었으며, 새로운 건축 교육을 모색하고자 ‘서울건축학교’ 설립에 참가하기도 했다. 1998년 북런던대학교 객원교수를 지냈고, 서울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출강했다. 지은 책으로 『빈자의 미학』(1996), 『지혜의 도시 | 지혜의 건축』(1999), 『건축, 사유의 기호』(2004), 『지문』(2009), 『노무현의 무덤, 스스로 추방된 자들을 위한 풍경』(2010),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2012) 등이 있다. 20세기를 주도한 서구 문명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 ‘빈자의 미학’이라는 주제를 건축의 중심에 두고 작업하면서 김수근문화상, 한국건축문화대상 등 여러 건축상을 수상했다. 파주출판도시 코디네이터로서 새로운 도시 건설을 지휘하던 그에게 미국건축가협회는 명예펠로십Honorary Fellowship을 수여했으며, 건축가로는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주관하는 ‘올해의 작가’(2002)에 선정되어 ‘건축가 승효상전’을 가졌다. 미국·일본·유럽·중국 각지에서 개인전 및 단체전을 가지며 세계적으로 알려진 그의 건축 작업은 현재 중국 내의 왕성한 활동을 포함하여 아시아와 미국, 유럽에 걸쳐 있다. 한국 정부는 그의 문화예술에 대한 공헌을 기려 2007년 대한민국예술문화상을 수여했다. 2008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총감독으로 활약한 그는 2016년 9월 2년간의 서울시 초대 총괄건축가 직무를 마쳤다.
사람들
승효상
다른 사람들
-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전문 번역가로 활동한다. 일본문화포털 ‘ 일본으로 가는 길 ’을 운영했으며, 그것이 인연이 되어 전문 번역가의 길을 걷고 있다. 주요 역서로 신카이 마코토의 『날씨의 아이』, 히가시노 게이고의 『브루투스의 심장』 『백마산장 살인사건』 『아름다운 흉기』 『몽환화』, 요시다 슈이치의 『여자는 두 번 떠난다』, 이케이도 준의 『은행원 니시키 씨의 행방』, 야쿠마루 가쿠의 『데스 미션』, 히가시야마 아키라의 『내가 죽인 사람 나를 죽인 사람』, 고바야시 야스미의 『분리된 기억의 세계』 등이 있다.
-
헤릿 노르트제이
타이포그래퍼, 타입디자이너, 북디자이너, 저술가, 역사가, 교육가. 1931년 네덜란드 로테르담 출생. 1960년부터 1990년까지 30년 동안 네덜란드 헤이그 왕립미술아카데미에서 타입디자인을 가르치며 이 학교를 이 방면 세계 최고의 교육기관으로 끌어올렸다. 현재 유럽과 미국에서 중견 타입디자이너로 활발하게 활동하는 수많은 제자들을 배출해내면서 소위 ‘헤이그 학파’를 형성하는 영향력을 미쳐왔다. 저서로는 『문자 편지(Letterletter)』와 『일곱 자매들의 손(De handen van dezeven zusters)』 등이 있다. -
아사바 가쓰미
대표적인 작업으로 민주당 로고, 198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 포스터 등이 있다. 문자와 시각 표현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으며, 동아시아 문자 가운데 중국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상형문자인 ‘동파문자’에 대한 조예가 깊다. 도쿄 타이프디렉터스클럽 TDC상, 도쿄 아트디렉터스클럽 ADC상, 일본아카데미상 최우수미술상, 자수포장 등을 수상했다. 2012년 현재 도쿄 TDC 이사장, 도쿄 ADC 위원, JAGDA 이사, 도쿄조형대학 객원교수를 맡고 있다. -
야마모토 리켄
도쿄예술대학원 미술연구과 건축학전공을 수료했고 1973년 야마모토리켄설계공장을 설립했다. 2007부터 2011년까지 요코하마국립대학원 교수를 지냈으며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나고야조형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주요 작품으로 사이타마현립대학, 공립하코다테미래대학, 요코스카미술관 등이 있으며 취리히, 톈진, 베이징, 서울 등에서 복합 시설, 공공 건축, 집합주택 등을 설계했다. 1988년과 2002년에 일본건축학회상을, 1998년에 마이니치예술상을, 2000년에 일본예술원상을 수상하는 등 다수의 수상 경력이 있으며 2024년에 건축계의 노벨상인 프리츠커상과 국제예술 부문 문화청 장관표창을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 『신편 주거론(新編 住居論)』 『권력의 공간/공간의 권력(権力の空間/空間の権力)』 『마음을 연결하는 집』(공저) 등이 있다. -
황성원
번역가이자 재생산 노동자. 글을 읽고 사색하는 시간만큼 손끝으로 필요한 물건들을 직접 만드는 시간과 그 시간의 고요를 좋아한다. 봄이면 씨앗을 뿌리고 인간이 감지하지 못하는 환경이 변화를 그들로부터 배운다. 옮긴 책으로는 『염소가 된 인간』 『기후카지노』 『쫓겨난 사람들』 『혼자 살아가기』 『행복산업』 등이 있다. -
아이디알
아이디알의 전보림, 이승환은 서울대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각각 건축사사무소 M.A.R.U.와 아뜰리에 17에서 실무를 익혔다. 2009년 런던으로 이주해 런던 메트로폴리탄대학교에서 MA(Master of Arts) 과정을 마치고 2014년 귀국해 아이디알 건축사사무소를 개소했다. 2017년 첫 준공작인 ‹매곡도서관›으로 ‘신진건축사대상 대상’ ‘건축문화대상 우수상’ 등을 수상했다. 각각 서울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설계 스튜디오와 디지털 텍토닉 수업을 담당하며, 서울시 공공건축가와 행복도시공공건축가로 활동한다. 사용자와 일상을 매개하는 배경으로서 건축의 역할에 관심이 있으며, 블로그를 통해 공공 건축과 건축 설계 현실에 대한 글쓰기를 이어간다. -
서유경
변호사, 변리사이자 리걸 디자이너이다. 서울대학교에서 디자인과 정보문화학을 전공하고,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법학전문석사 학위를, 서울대학교에서 지적재산권법을 전공하여 「가상물품의 형태 보호를 위한 지적재산권법 체계에 관한 연구」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법률사무소 아티스를 운영하며 서울문화재단 예술청의 예술인 법률 상담 고문변호사로 활동했으며,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디자인분쟁조정위원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만화진흥위원회 법률 분야 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에서 법률 관련 수업을 맡고 있다. 법의 관점에서 디자인을 연구하는 동시에,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리걸 디자인’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
나가오카 겐메이
디자인 활동가, 《d design travel》 발행인. 1965년 홋카이도 모로란시에서 태어나 아이치현 아구이초에서 자랐다. 일본디자인센터 하라디자인연구소 설립에 참가하고 1997년 드로잉앤드매뉴얼을, 2000년 D&DEPARTMENT PROJECT를 설립했다. 이후 60VISION을 창안해 가리모쿠60 등 복각을 넘어선 브랜딩 스타일을 제안했다. ‘롱 라이프 디자인’을 활동 주제로 삼고 출판에서 상품 개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실천을 한다. ‘정열대륙’ ‘닛케이 스페셜 캄브리아 궁전’ ‘가이아의 여명’ 등 여러 텔레비전 방송에 출연했다. 2013년 마이니치디자인상을 받았다. 2020년 고향인 아구이초에 크라우드 펀딩으로 ‘d news aichi agui’를 개업해 매장에서 직접 손님을 만난다. 국내에 소개된 책으로는 『디자이너 생각 위를 걷다』 『디자이너 함께하며 걷다』 『디자이너 마음으로 걷다』 『디앤디파트먼트에서 배운다, 사람들이 모여드는 전하는 가게 만드는 법』 등이 … -
지요건축
김세진이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2015년 설립한 건축사사무소. 종이의 면으로 시작한 건축이 존재의 개별성과 감각의 보편성을 가지고 스스로 깊이 있는 것으로 변화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2016 서울시 공공건축가, 서울대학교 설계스튜디오에 출강한 바 있다. 체부동 생활문화센터 지명설계공모 당선, TSK 펠로우십 어워드(TSK Fellowship Award), 한국농촌건축대전 본상, 서울교육공간 디자인혁신 교육감 표창 등을 수상했다. 국립현대미술관 보존과학자 C의 하루,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광주디자인비엔날레 광주폴리전에 참여했다. -
권민성
학부에서 미술 이론을 공부하며 전시 기획자를 꿈꿨으나, 작품 보존에 흥미를 느끼게 되면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 과정에 진학했다. 대학원에서 지류 및 회화 보존을 전공한 후 도쿄예술대학원 문화재보존학 연구실에서 특별 연구생으로 활동했다. 이후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과 간송미술관의 소장품 수리 사업에 참여했고, 국가유산수리기술자(보존과학) 제1994호 자격을 취득했다. 2022년에 한국 장황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자 정혜선과 함께 SOKO를 설립했으며, 현재는 SOKO를 운영하며 국가유산 수리 업체 운산에서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
알렉산드라 클로보우크
독일 레겐스부르크에서 태어났다. 베를린바이센제미술대학교(Weißensee Kunsthochschule Berlin)에서 비주얼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하고 일러스트레이터이자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매콤한 소스와 함께하는 이스탄불 여행(Istanbul, mit scharfe Soße?)』 『포르투갈 요리(Die portugiesische Küche-A Cozinha Portuguesa)』와 부흐쿤스트 재단(Stiftung Buchkunst)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Schönsten Deutschen Bücher)’으로 선정한 『플라스틱 바다(Polymeer, eine apokalyptische Utopie)』 『어린이와 어른을 위한 이슬람(Der Islam für Kinder und Erwachsene)』 등이 있다. -
푸른누리
사람이 쓰고 버리는 것이 죄다 거름이 되면 우리 삶 터전을 더럽히지 않고 뭇 목숨과 함께 땅별을 푸르게 누리며 살아가리라 믿고 여름(농사)지어 살아가는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