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이자 문화이론가다. 고려대학교에서 사회학 전공 중, 1980년대 초 미국으로 건너가 파사데나아트센터(Art Center College of Design, Pasadena)에서 예술을 전공했다. 1990년대 중반에는 뉴욕 루지태니아프레스(Lusitania Press)의 편집인으로 있었고, 1994년부터 2004년까지 뉴욕대학교의 겸임 교수(Adjunct Professor)를 지냈다. 1980년대 중반부터 작가로 활동하기 시작해 제57회 베네치아비엔날레 한국관 및 뒤셀도르프미술관, 마르세유현대미술관, 켐니츠미술관 등지에서 유럽 순회 회고전 〈Cody Choi, Culture Cuts〉을 개최했다.
회화, 조각, 설치 등의 작업을 통하여 현시대의 다양한 문화가 빚어내는 충돌과 그 간극에서 탄생한 제3의 문화 혹은 혼종 문화, 그리고 끊임없이 탄생하는 동시대 새로운 사회 현상을 주목한다. 『20세기 문화 지형도』 『동시대 문화 지형도』 등 현대 문화에 관한 전문 비평서와 『Cody Choi, Culture Cut』 『Cultural Shift Hatter』 『Venetian Rhapsody』 등의 전시 카탈로그를 출간했으며, 그의 작품과 정신세계는 존 C. 벨츠만(John C. Welchman)의 『Art After Appropriation Essays on Arts in 1990s』(G+B Arts International, 2001), 마이크 켈리(Mike Kelly)의 『Foul Perfection』(MIT Press, 2003)을 통해 소개되었다.
사람들
코디 최
다른 사람들
-
던과 라비 의 앤서니 던은 뉴욕 뉴스쿨에서 ‘디자인을 통한 사회 탐구’를 가르치는 교수이자 디자인 민족지학 및 사회사상 대학원(Graduate Institute for Design Ethnography and Social Thought)의 펠로우다. 2005–2015년까지 영국 런던 왕립예술학교(RCA)에서 디자인 인터랙션 학과장이자 교수로 재직했다. RCA에서 산업 디자인을 전공하고 도쿄의 소니 디자인에서 근무했으며, 런던으로 돌아온 후 RCA에서 컴퓨터 관련 디자인(Computer Related Design)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RCA의 디자인 연구소인 CRD리서치스튜디오의 창립 멤버이며, 선임 펠로우로서 유럽연합 및 산업 지원 연구 프로젝트의 수장 역할을 했다. 1998–2004년까지 RCA의 교육 프로그램이었던 플랫폼 3에서 디자인 제품 부문의 선임 강사로 지도했다. 2009년 디자인 교육 혁신 부문 미샤블랙경 상을 수상했다.
-
정진욱
대학에서 미학을 전공했다. 보이지 않는 음악을 짓고 채보하는 음악가들을 부러워한다. 사랑하는 마음도 음악 같다고 믿는다. 삶이 흔들릴 때마다 이미 쓰인 삶에 기대지 않고 앞으로의 삶을 더 선명하게 연주하 기 위해 불안한 마음으로 불완전한 문장들을 기보하듯 적어 내린다. 미니멀리스트를 위한 독립 매거진 《ESSAI》의 발행인이며 지은 책으로는 『사랑의 에튀드』가 있다. -
김영선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대학원 미학과를 수료했다. 출판편집자, 양육자를 거쳐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진실의 죽음』 『처칠의 검은 개, 카프카의 쥐』 『자동화된 불평등』 『국경 없는 자본』 『투 더 레터』 『망각의 기술』 『왜 하이데거를 범죄화해서는 안 되는가』 등이 있다. -
헬무트 슈미트
타이포그래퍼. 1942년 2월 오스트리아에서 독일 국적으로 태어났다. 독일에서 식자공 도제 과정을 마친 후 스위스 바젤디자인학교(Schule für Gestaltung Basel)에서 에밀 루더, 쿠르트 하우어트, 로베르트 뷔흘러의 가르침을 받았고, 그 후 독일, 스웨덴, 덴마크, 캐나다, 일본 등지에서 활동하며 대표작 〈Katanaka Eru〉를 디자인했다. 일본과 독일 등지에서 『디자인은 태도다』 등 다수의 서적을 출판하고, 오사카에서 정보 전달과 자유 형태라는 이원성에 천착하며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1980년 『타이포그라피 투데이』를 편집·디자인했고, 1997년 ‘타이포그라픽 리플렉션’ 시리즈 네 번째로 『바젤로 가는 길』을 출판했다. 일본의 《아이디어》, 영국의 《베이스라인》, 스위스의 《TM》 등의 잡지에 기고했으며 인도 봄베이의 IDC, 일본 고베의 KDU, 한국 서울의 홍익대학교에서 타이포그라피 강의와 워크숍을 진행한 바 있다. 2018년 작고했다. -
김주성
홍익대학교와 같은 학교 산업미술대학원을 졸업했다. 서울그라픽센터 연구원, 타이포하우스와 인터그라픽 크리에이티브디렉터, (주)푸른감성 제작이사, 한국시각정보디자인협회 부회장,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부회장, 한국기초조형학회 부회장 등을 지냈다. 타이포잔치를 비롯한 국내외의 크고 작은 전시에 참여했다. 현재 명지전문대학 커뮤니케이션디자인과에서 타이포그래피를 강의하고 있다. -
에이드리언 조지
영국정부아트컬렉션(UK Government Art Collection)의 부관장 겸 선임 큐레이터. 교육, 해설, 공공 프로그램에서 전문적인 예술 행사에 이르는 다양한 출판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부서를 이끌고 있으며, 큐레이팅과 현대미술품 커미셔닝 관련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벨기에, 필리핀, 카타르, 스페인, 영국, 예멘에서 장소특정적 작품을 커미셔닝했으며, 홍콩, 더블린, 런던, 스코페, 뉴욕, 타이베이 등지에서 전시를 기획했다. 테이트 리버풀(Tate Liverpool), 테이트 모던(Tate Modern), 뉴뮤지엄(New Museum)에서 큐레이터로 활동했다. -
최대석
홍익대학교 미술대학(BFA)과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산업디자인(MFA)을,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마케팅(MBA)을 전공했다. ‘성공적인 디자이너는 이론(文)과 실무(武)를 겸비해야 한다’는 평소의 교육 및 디자인 철학(creative philosophy)의 신념으로 전문 디자이너 교육에 정진하는 한편 대한민국산업디자인전 추천 디자이너를 거쳐 심사 위원을 지내면서 초대 디자이너로 출품해 왔다. 주요 관심 분야로는 신제품 디자인 개발과 기업 디자인 전략(진단, 평가, 계획 수립), 휴먼 팩터(Human Factors: Aging, Sporting Goods) 등이 있다. 2008년 현재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KSID(Korea Society of Industrial Designers) 창립 회원이었으며 IDSA(Industrial Designers Society of America) 국제 회원, 대한인간공학회 종신회원이기도 하다. 지은 책으로 『새시대 … -
에치오 만치니
지속 가능성을 위한 디자인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다. 2009년에 사회혁신 디자인을 주제로 한 디자인 대학들의 네트워크인 데시스 네트워크(DESIS Network)를 설립해 세계 곳곳의 디자인 대학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사회혁신 디자인에 관한 담론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했다. 오랫동안 이탈리아 밀라노공과대학(Politecnico di Milano) 디자인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지속 가능성을 위한 디자인 연구를 진행했다. 또한 전략 디자인, 서비스 디자인 등 새로운 디자인 전공을 개설하며 디자인 교육의 영역을 넓혔다. 밀라노공과대학에서 ‘지속 가능성을 위한 디자인 혁신(Design Innovation for Sustainability, DIS)’ 연구실을 이끌었고, 디자인 전공 박사학위 프로그램 코디네이터, ‘서비스 디자인 센터(Centro Design dei Servizi, DES)’의 코디네이터를 역임했다. 디자인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탈리아 … -
고야마 류스케
일본의 비즈니스 컨설팅 및 인재 육성 회사인 블룸콘셉트의 대표이사이자 콘셉트 크리에이터다. 교토대학에서 철학과 미학미술사를 공부했고, 광고대행사를 거쳐 미국에서 MBA 과정을 마쳤다. 쇼치쿠의 프로듀서로서 가부키를 테마로 신규 사업을 시작했다. 2008년 회사를 그만둔 이후 재택근무를 자신의 새로운 가능성을 펼칠 기회로 삼아 2010년 블룸콘셉트를 설립했고 대학 교수, 대기업 및 지방자치단체의 프로젝트 자문 및 기업 설립 컨설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재택근무를 통해 다양한 경력을 쌓은 것 외에도 대학원에 진학해 교토조형예술대학에서 현재 박사과정을 밟고 있다. Life Hacks 계열의 책뿐 아니라 동기부여, 비즈니스 모델 등과 관련된 전문 서적도 여러 권 펴냈다. -
이진렬
조선대학교 디자인공학과 디자인 매니지먼트 전공 정교수이다. 전북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디자인 매니지먼트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IBRD디자인개발연구소 수석연구원과 (주)R&C KOREA 디자인전략개발팀 수석연구원을 지냈다. 한국디자인경영학회 이사·편집위원, 한국디자인학회 이사, 한국마케팅과학회 이사 등 다양한 학회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한국마케팅학회 올해의 우수논문상(2001)을 시작으로 한국디자인경영학회 최우수 발표논문상 수상(2012), 한국연구재단 융복합분야 수평가위원상(2013) 등을 받았다. 현대자동차, 금호타이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 국내 많은 기업체와 기관의 디자인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세계디자인학회, 유럽디자인학회, 아시아디자인학회, 한국디자인학회, 한국마케팅학회, 한국경영학회 등 국내외 유수의 학회 및 저널에 디자인 경영과 관련된 논문 100여 편 이상을 발표했다. -
김재홍
영국 센트럴세인트마틴(Central St. Martins College) 아트&디자인 대학원을 졸업하고 VIDAK, 기초조형학회,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에서 활동했다. 현재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미술과 시각디자인전공 교수로 일한다. 지은 책으로 공저서 『디자인 교육』 『슬로우 푸드』 등이 있다. -
강현주
서울대학교와 스웨덴 콘스트팍(Konstfack)에서 시각 디자인을 전공했고, CI 전문회사인 올커뮤니케이션에서 일했다. 현재 인하대학교 디자인융합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디자인사 연구』와 『한국디자인사 수첩: 한국의 폴 랜드, 조영제를 인터뷰하다』가 있고, 논문으로는 「세대변천과 기업 디자인의 변화」 「한홍택 디자인의 특징과 의미: 한국 그래픽 디자인의 전사(前史)」 「김교만과 한국 현대 그래픽 디자인」 「88서울올림픽에서 조영제의 역할과 영향」 「안상수가 한국 그래픽 디자인 문화생태계에 미친 영향」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