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동신
서울대학교 응용미술학과 및 홍익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전 교수로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장을 역임했다. 36아시안게임 문화포스터 제작, 88 서울올림픽대회 사인·환경 디자인 등에서 활동했다. 참여한 책으로 『고등학교 디자인 실제』 『디자인실습』 『그래픽디자인』 『시각디자인 일반』 『시각디자인실습』 등이 있다.
1963년생으로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10대학교에서 언어학과 기호학으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LG연암재단의 교수 해외 연수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미술사학과 및 언어학 연구소 방문교수, 플브라이트 펠로 자격으로 미국 하버드대학교 방문교수, 프랑스 리모주대학교 석좌초빙교수, 프랑스 디종대학교 명예석좌교수,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방문교수, 프랑스 아브르대학교 석좌교수 등을 지냈으며, 포스코청암문화재단에서 아시아 연구 펠로로 선정된 바 있다. 한국기호학회, 국제인문언어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및 영상문화학 협동과정 주임교수이며, 세계기호학회 집행위원과 기호학 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지인 《세미오티카》 편집위원, 한국기호학회 회장, 한국영상문화학회 부회장이다. 《세미오티카》의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드그레》 《랑가주》 《코디카스》 등 국제 기호학, 매체학, 언어학 분야의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데리다, 그레마스, 퍼스, 에코, 플로슈 등의 저서를 번역했으며, 1996년 한국일보 출판문화상(번역 부문)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현대 기호학 강의』 『로고스에서 뮈토스까지』 『구조에서 감성으로』 『디지털 언어와 인문학의 변형』 『기호, 리듬, 우주』 『호모 모빌리쿠스』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