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저널리스트, 영화 제작자 및 책 제작자다. 런던에서 인물 사진작가로 경력을 시작해 영국과 미국의 다양한 잡지에 과학, 항공우주, 우주론에 관한 글을 기고했다. 2012–2018년에는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와 〈닥터 스트레인지러브〉를 기념하는 다양한 도서 프로젝트와 국제 전시회를 위해 큐브릭의 가족과 긴밀히 협력했다. 또한 미국항공우주국의 60주년을 기념하는 가장 유명한 임무 주요 회고전에서 나사와 협력했으며, 콰르토(Quarto)와 함께 플로리다에 있는 나사의 발사장을 위한 브로슈어를 만들었다. 유럽우주국에서 고위 인사를 위한 브로슈어와 정치 연설문을 작성하기도 했다. 지은 책으로는 『문샷: 핫셀블라드 카메라를 통해 본 나사 우주 탐사 50주년(Moonshots: 50 Years of NASA Space Exploration Seen Through Hasselblad Cameras)』(2017), 『우주왕복선: NASA 최초의 우주비행기 30주년 기념(The Space Shuttle: Celebrating Thirty Years of NASA’s First Space Plane)』(2011), 『거대한 도약: 아폴로 11호의 기억(One Giant Leap: Apollo 11 Remembered)』(2009), 『2001: 미래를 촬영하다(2001: Filming the Future)』(2000), 『화성의 강들(The Rivers of Mars)』(1997) 등이 있다. 모국인 영국에서 젊은이들을 위한 과학 봉사 프로그램에 참여 중이다.
사람들
피어스 비조니
Piers Bizony
다른 사람들
-
임대근은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동대학원 미술이론과를 졸업하고 멜버른대학 미술사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97년부터 현재까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 기획 업무를 주로 담당하며 «멀티플/다이얼로그∞»(2009), «무제»(2015), «균열»(2018), «박이소: 기록과 기억»(2018), «MMCA 현대차 시리즈 2019: 박찬경-모임»(2019), «가면무도회»(2022) 등을 기획했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의 전시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
채승진
1985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과를 졸업한 뒤 1987년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학 석사(공업디자인학 전공), 1990년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석사(MFA in Industrial Design), 2007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논문 「기술특성과 제품전형의 성립」(지도교수: 이순종)으로 디자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2002년까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공학과 부교수로 재직했고, 2002년부터 2019년 현재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디자인예술학부 산업디자인학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한국디자인학회 회원이다. -
정하린
글꼴 디자이너, 그래픽 디자이너. 영남대학교와 예일대학교에서 그래픽디자인을 전공했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안그라픽스 타이포그라피연구소에서 글꼴 연구원이자 글꼴 디자이너로 일하며, AG최정호체와 AG초특태고딕을 만들었다. 비슷한 시기에 파주타이포그라피학교에서 글꼴 디자인을 가르쳤다. -
손부경
홍익대학교 예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미니멀리즘과 뉴미디어 아트의 공간체험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꼭 읽어야 할 예술이론과 비평 40선』 『미디어 비평용어 21』 『포스트프로덕션』 등을 공역하고 「제프리 쇼Jeffrey Shaw의 뉴미디어 설치미술」 「Medial Turns in Korean Avant Garde」 「빙햄턴 편지: 백남준의 실험텔레비전센터(ETC) 활동에 관한 연구」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 뉴욕주립대학교 빙햄턴 미술사학과에서 박사 논문을 집필 중이다. 주로 환경과 미디어, 기술의 문제를 바탕으로 전후 미술의 전개 과정과 작동 방식을 분석하는 데 관심 있다. -
최진영
일상을 관찰하고 기억에 남는 장면과 이야기를 그림으로 옮겨 그린다. 그리기의 즐거움과 건강함이 전달되기를 바라면서 다양한 매체에 그림을 싣는다. 그린 책으로 『어린이 대학: 물리』 『어쩌다 디자인』 『다르면 다를수록』 『여행하는 말들』 등이 있다. -
김성도
1963년생으로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10대학교에서 언어학과 기호학으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LG연암재단의 교수 해외 연수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미술사학과 및 언어학 연구소 방문교수, 플브라이트 펠로 자격으로 미국 하버드대학교 방문교수, 프랑스 리모주대학교 석좌초빙교수, 프랑스 디종대학교 명예석좌교수,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방문교수, 프랑스 아브르대학교 석좌교수 등을 지냈으며, 포스코청암문화재단에서 아시아 연구 펠로로 선정된 바 있다. 한국기호학회, 국제인문언어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및 영상문화학 협동과정 주임교수이며, 세계기호학회 집행위원과 기호학 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지인 《세미오티카》 편집위원, 한국기호학회 회장, 한국영상문화학회 부회장이다. 《세미오티카》의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드그레》 《랑가주》 《코디카스》 등 국제 기호학, 매체학, 언어학 분야의 학술지에 다수의 … -
바스 판 아벌
바그(Waag)소사이어티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오픈 디자인 원칙 위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일에 집중한다. 바그소사이어티 팹랩과 인스트럭터블스 레스토랑의 공동 창립자이기도 하다. 개인적으로도 전 세계 개인제작자 및 디지털 제작 커뮤니티의 일원으로 활발히 활동한다. -
김용철
1949년 출생.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와 동 대학원 회화과를 졸업했다. 현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교수이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홍익대학박물관 등 17여 곳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저서로는 『드로잉과 회화의 표현 방법』을 비롯해 『스무살이 선택하는 학문의 길: 미술편』(정운찬 공저), 『초등학교 미술 5–6』(정일외 공저), 『KIM, YONG CHUL: WORKS 1966–1991』(정운찬 외 49인 공저)이 있으며, 역서로는 『아트스쿨 200 프로젝트』 등이 있다. -
에이드리언 조지
영국정부아트컬렉션(UK Government Art Collection)의 부관장 겸 선임 큐레이터. 교육, 해설, 공공 프로그램에서 전문적인 예술 행사에 이르는 다양한 출판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부서를 이끌고 있으며, 큐레이팅과 현대미술품 커미셔닝 관련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벨기에, 필리핀, 카타르, 스페인, 영국, 예멘에서 장소특정적 작품을 커미셔닝했으며, 홍콩, 더블린, 런던, 스코페, 뉴욕, 타이베이 등지에서 전시를 기획했다. 테이트 리버풀(Tate Liverpool), 테이트 모던(Tate Modern), 뉴뮤지엄(New Museum)에서 큐레이터로 활동했다. -
한스 루돌프 보스하르트
1929년생으로 식자 도제 과정을 이수하고 강사로 활동했다. 다양한 전문대학과 취리히디자인학교에서 사진과 그래픽 디자인을 가르치고, 취리히산업디자인실업학교에서 교사로 일하면서 타이포그래픽 디자인 평생학습 과정을 계획했다. 문화계 북 디자인, 전시 카탈로그 및 포스터를 제작하고, 전시 및 설치 디자인 작업도 꾸준히 진행한다. 예술과 건축, 타이포그래피, 타이포그래픽 디자인과 서체에 관해 많은 책을 썼으며, 수많은 잡지에 글을 기고하는 동시에 관련 강의도 활발히 펼친다. 회화와 그래픽 디자인, 대지미술, 사진 등의 작품 활동도 쉬지 않는다. 1956년에는 취리히에 야누스 출판사(Janus-Presse)를 설립하고 오리지널 그래픽과 예술에 관한 포트폴리오와 책들을 제작했다. 국제목판사협회(Internationale Vereinigung der Holzschneider)인 자일론(Xylon) 회원이며 1967년부터 1991년까지 목판과 목판 기술을 위한 잡지 «자일론»의 편집과 … -
현대카드
현대카드는 알파벳과 숫자, 컬러의 세 가지 축으로 완성된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며 카드 시장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주력 상품을 포인트와 할인으로 단순화해 우량 고객과 프리미엄 시장에 집중하고, 차별화된 역량을 바탕으로 산업별 최고의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으며 현대카드만의 PLCC(Private Label Credit Card) 생태계를 구축 중입니다. 또한 전사적 디지털 라이제이션을 추진하며 모든 비즈니스 영역에 금융사를 넘어선 데이터 사이언스 (Data Science) 기업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끊임없는 변화를 통해 고객과 호흡하는 브랜딩 혁신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
김종균
서울대학교 산업 디자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디자인학 박사를 마쳤다. 현재 특허청에서 행정사무관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의 디자인』 『디자인전쟁』 등의 저서와 다수의 공저가 있다. 한국 디자인 역사 및 브랜드와 디자인 지식재산권과 관련된 논문을 다수 발표하고 여러 매체에 디자인과 관련된 다양한 글을 쓴다.